네이버 블로그 "솔정수 - 솔나무 그늘 아래 맑은 샘터" 로 오세요

네이버 블로그에서 "솔정수"를 치세요! 더 많은 글들이 있습니다.

솔나무 그늘 및 맑은 샘터 - 솔정수(naver 블로그 "솔정수 - 솔나무 그늘 아래 맑은 샘터"로 오세요. 자세히보기

별빛으로 열린 다락방 창가/나의 리아호나 17

대가의 손길

목재, 양의 내장, 그밖의 동물들의 힘줄과 내장과 뼈, 은선, 강철선, 말꼬리 털, 송진, 니스, 상아 또는 소뼈, 은판, 흑단 단추 … 이 재료들의 공통점이 있다면 그 하나 하나로는 아름다운 소리를 떠올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. 그러나 이 재료들은 장인의 손에서 가공되고 맞추어져 참으로 매혹적인 음율을 만들어내는 바이올린과 활로 탄생됩니다. 내친 김에 바이올린 이야기를 하나 더 들려드리겠습니다. 예전에 교회 동영상으로 보셨던 분들도 많은 친숙한 이야기일 것입니다. 아주 낡고 여기 저기 흠이 생기고 색이 벗겨진 볼품없는 바이올린이 있습니다. 그 바이올린도 처음에는 꽤 훌륭한 품질의 바이올린이었습니다. 어린 아들을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로 키우고 싶던 젊은 어머니가 사서 아들에게 선물했지만, 음악에는 전혀 관..

[스크랩] 몰몬교- (중앙일보기사) “성직자 따로 없는 평신도 교회 봉사생활이 기본

한국인 처음 ‘예수그리스도 후기성도교회’ 종신지도자 된 최윤환 장로 외국계 투자사 이사로 일하던 최윤환 장로는 종신지도자가 되면서 봉사에 전념하기 위해 회사를 그만뒀다. 대신 최저생활비 수준의 ‘리빙 얼라우언스’를 받는다. [구희언 인턴기자] 예수그리스도 후기성도교회는 흔히 ‘몰..

세상에서 가장 큰 우산 - 비 속에서 만난 천사

성전에서 나와 잠깐 중고서점을 들렸다가 전철역으로 가기위해 횡단보도 신호를 기다리고 있을 때였습니다. 갑자기 빗방울이 떨어지더니 이내 제법 굵어지더군요. 은행나무 밑으로 피해보았지만 남달리 큰 덩치라 비맞는 면적도 남들보다 더 많더라구요. 그때였습니다. 옆에 계시던 아주머니 한분이..

The Moth and The Cocoon - 노변의 밤 모임에서 한인상 장로님께서 인용

A man found a cocoon of an emperor moth. 한 남자가 여왕나비의 고치를 발견했습니다. He took it home, so that he could watch the moth come out of the cocoon. 그는 그 고치에서 나비가 나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게 그것을 집으로 가져왔습니다. One day, a small opening appeared, and he sat still, watching for several hours as the moth struggled to force i..

우리 교회도 십자가가 있어야 합니다.

2004. 10. 16 노변의 밤 모임에서 한인상 장로님이 하신 말씀들 중에서 " 많은 사람들이 너희 교회에는 왜 십자가가 없냐고 묻습니다. 우리 교회에도 십자가가 있습니다. 교회 꼭데기에 조형물인 십자가는 없지만,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짊어지라고 하신(마16:24) 십자가, 곧 "사랑과 희생"은 우..

희망은 좋은 거죠

희망은 좋은 거죠. 가장 소중한 것이죠. 좋은 것은 절대 사라지지 않아요.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동료 죄수였던 레드(모건 프리먼)에게 보내는 앤디(팀 로빈슨)의 편지 중 나는 희망한다. 앤디가 그곳에 내려가 있기를. 나는 희망한다. 내가 국경을 무사히 넘을 수 있기를. 나는 희망한다. 내 친구를 만나 악수를 나눌 수 있기를. 나는 희망한다. 태평양이 내 꿈속에서처럼 푸른 빛이기를. 나는 희망한다.     -가석방 중인 레드가 앤디를 찾아 멕시코로 달아나면서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영화 "쇼생크 탈출" ending scene에서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원작 : 스티븐 킹의 ..

실컷들 사랑하라, 가슴이 있을 때

서귀포 천지연에는 '시인의 배'라는 테우(제주도 고유의 돛을 단 뗏목)이 있는데 그 돛에 쓰여진 낙서들 중 이 시가 유독 사람의 가슴을 묶는다. 아직 나의 가슴이 있기 때문일까? 이 시는 나의 시, 나의 삶에 참 긴 푯말이 되고 있다. 실컷들 사랑하라 가슴이 있을 때 죽은 뒤에 네 사랑 간직할 가슴 있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