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마주걸이 가외수 3가지] - 안짱다리수 [안짱다리하고 엉덩잽이] - 안짱다리 걸 때는 1. 앞무릎을 안쪽으로 돌리면서 앞발이 상대방 회목 뒤를 걸어 잠그게 하고 2. 뒷발 먼저 뒤로 빼면서 3. 걸어잠근 앞발을 위로 들어올리면서 당긴다. (그냥 당길 경우 상대가 조금만 버텨도 끌어올 수 없으며, 상대가 발을 들어올려 피할 수도 .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30
앞딴죽치고 안낚걸이(우-우) [마주걸이 7] - 왼손으로 딴죽친 상대방의 발[우]의 오금을 잡고(안아잽이식으로) 상대방의 왼발을 확실하게 걸어줌으로써 상대방을 완전히 공중에 띄운다 (오른 손은 상대방의 안전을 위해 목덜미를 잡아준다. 결련수에서는 칼잽이) 상대방의 발[우]이 들리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몸을 낯추면서 확실하게 상대방.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30
밭장치고 가로딴죽(우-좌) [마주걸이 6] * 가로딴죽은 뒷딴죽이라고도 하며 바깥발회목에 차는 딴죽을 의미한다. (보통의 딴죽은 안쪽 복숭아뼈 부위를 차는 앞딴죽을 의미한다.)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30
밭장치고 오금밟기(우-좌/우-우) [마주걸이 4] * 내딛는 발을 밭장치며 상대의 뒤로 들어가 뒷발(반대발)의 오금을 밟는다. 오금밟기할 때는 두 손으로 상대의 어깨를 잡고 밟은 발을 땜과 동시에 뒤로 채듯 잡아당겨 넘 어뜨린다. 어깨를 잡아 당길 때는 자신의 몸쪽으로 당기지 말고, 상대방의 바로 뒷 방향으로 잡아 챈다. (자신쪽으로 당길 경우, .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30
안짱걸고 앞딴죽(우-우) [마주걸이 1] *앞딴죽은 보통 차는 안쪽 복숭아뼈 부위에 대해 대각선방향으로 차는 딴죽을 의미하며 가로딴죽(또는 뒷딴죽)은 바깥쪽 복숭아뼈 부위에 대한 딴죽을 의미한다. - 안짱다리 걸 때는 1. 앞무릎을 안쪽으로 돌리면서 앞발이 상대방 회목 뒤를 걸어 잠그게 하고 2. 뒷발 먼저 뒤로 빼면서 3. 걸어잠근 앞발.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30
마주걸이 - 다리 걸이 연습과정[기본수 7가지] 기본수 7가지 + 가외수 3가지 기본수 : 안짱다리 - 1. 앞딴죽 2. 덧걸이 3. 중방걸이/오금차기 밭장다리 - 1. 오금밟기 2. 낚시걸이[밖낚] 3. 가로딴죽[뒷딴죽] 딴 죽 - 1. 안낚걸이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30
회목잡고 칼잽이(어깨잽이) [얼러메기기 - 손질6] * 상대방이 는질러차올 때 몸을 비켜 발회목을 잡아 겨드랑이로 바짝 끌어당겨 상대의 중심을 꺾고 손으로 목이나 어깨를 민다. 맞으로 잡았을 때[즉 상대방의 차오는 발쪽의 손으로 잡았을 때]는 칼잽이가 되며 엇으로 잡았을 때[즉 상대방의 발과 대각선 위치의 손으로 잡았을 때]는 어깨집이가 된다.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29
오금잽이/ 무릎잽이 [얼러메기기 - 손질 4] * 오금잽이 : 무릎 바깥쪽(오금-오금차기하는 부위)을 잡는다. 무릎잽이 : 무릎 안쪽을 잡는다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29
가세 질러막기(두손 엇갈려 잡기) [얼러메기기 - 손질3] * 상대가 걷어차올 때 상대의 다리를 엇갈려 잡아 돌린다. 가세 질러막기자세는 양손을 겨드랑이로 끌어올린 후 내리면서 막는다. 가세질렀을 때 위에 위치한 손은 오금을 단단히 잡고 밑에 있는 손을 바깥쪽으로 돌리며 꺽는다. 발을 단단히 감은 후 발을 뒤로 빼며 상대 오금을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.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29
덜미잽이 및 덜미걸이 [얼러메기기 - 손질 2] * 덜미걸이에서 덜미잡은 손은 팔굽을 구부려 상대의 가슴에 대고 몸 안쪽으로 힘껏 잡아챈다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29
두잽이(무릎대치기) [얼러메기기 2-12] 상대방이 덧걸이로 공격해올 때 상대의 덧걸이발 무릎을 잡고 다른 손으로 상대의 목덜미를 잡아 앞으로 끌어 챈 후 몸을 뒤로 누우면서 한발바닥으로 상대의 아랫배를 밀어 차 몸 위로 던져 넘 어뜨린다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29
곁치고 돌개치기 [얼러메기기 2-8] * 돌개치기 : 뛰어 뒤돌아차기 허벅지 곁차고 돌아째차기(본때의 형식) 또는 허벅지 곁차고 돌아걷어차기[/뛰며 돌개발따귀] 로도 변용 가능 - 이때는 곁차고 반대방향으로 돌아 발을 안쪽으로 차면 쉽다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29
곧은발질 두발낭상 [얼러메기기 2-7] * 무릎걸고 두발낭상으로도 변용가능 두발낭상은 뛰어 걷어차기, 뛰어 는질러차기, 뛰어 발따귀 등 모두 가능 * 곧은 발질 후 두발낭상은 어느 발로 하든 관계 없다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29
무릎걸고 좌우발따귀(한발) [얼러메기기 2-3] * 좌우 발따귀는 같은 발로, 즉 한발로 행하며 바깥 발따귀는 휘 감아차는 방식으로 한다. (안쪽으로 발따귀 하고 발이 닿음과 동시에-이때는 몸이 반신상태임- 그발로 바로 휘감듯 찬다.)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29
안짱다리걸며 덧걸이 [얼러메기기 2-2] * 안짱은 치는 것이 아니라 거는 것이다. 앞발로 상대방 회목을 걸어잠근 후 무릎을 안으로 약 간 돌리면서 위로 들어올리면서 당긴다. (그냥 당기면 상대가 버틸 경우 움직이지 않는다) 만일 상대방이 버티거나 들어올려지지 않을 경우에는 바로 발을 빼내면서 다음 단계로 빨리 진행해야 한다. 나를 향한 품밟기/비각술도 품밟기부터 2008.09.29